AWS 성능 향상을 위한 NGINX 활용 5가지 팁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서비스의 선도적인 제공업체인 Amazon Web Services(AWS)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훌륭한 리소스이자 플랫폼입니다. AWS의 고객으로는 Adobe, Airbnb, NASA, Netflix, Slack, Zynga와 같은 유명 기업이 있습니다. AWS는 Prototyping, 혼합 배포(직접…


Keepalive 설정으로 NGINX HTTP 성능 향상 HTTP keepalive 연결은 지연 시간을 줄이고 웹 페이지를 더 빠르게 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서버를 벤치마킹한 후 실제 트래픽에 배포했는데 벤치마크 성능에 근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적이 있으신가요? CPU 사용률은 낮고…

Circuit Breaker 패턴 NGINX Plus로 구현하기 Martin Fowler가 대중화시킨 용어인 Circuit Breaker 패턴은 Microservices 아키텍트 사이에서 연쇄적인 서비스 장애를 방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설계 패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Circuit Breaker 패턴의 개념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에 흐르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장애를 방지하고, 장애가…

NGINX 및 NGINX Plus 로 자동화하는 3가지 방법 이 포스트에서는 NGINX 및 NGINX Plus 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Workflow를 자동화하는 3가지 방법을 다룹니다. 오늘날 많은 조직에서 수동 프로세스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 프로세스가 느려지고 있습니다. 수동 프로세스는 개발자와 운영팀에 추가…

실시간 API 를 지원하는 API Gateway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시간 API 가 무엇이며, 오늘날 실시간 API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저녁 식사를 하러 가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차량을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NGINX Cache: Microcaching의 이점 NGINX Cache: Microcaching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캐싱하여 동적이고 개인화되지 않은 콘텐츠의 전송을 가속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Microcaching 기술을 사용하여 WordPress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최대 400배까지 가속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NGINX 및 NGINX Plus는 개별 웹사이트부터 MaxCDN…

Active Health Check vs Passive Health Check : 적합한 것은? 의사의 정기 검진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부분인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은 안정적인 성능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Active Health Check 와 Passive Health Check를 사용하는…

NGINX Plus API Gateway: JWT 토큰 인증 및 콘텐츠 라우팅 실현 NGINX Plus 릴리스 10부터는 JWT 토큰 인증 을 사용하여 웹 및 API 서비스에서 인증 오프로딩(Offloading)에 대한 지원을 도입했습니다. R10이 출시된 이후로 우리는 각각의 새 릴리스에서 계속해서 기능을 향상시켜 왔습니다.…

Apache Rewrite 규칙을 NGINX Rewrite 규칙으로 전환하기 이 포스트에서는 Apache HTTP 서버 Rewrite 규칙을 NGINX Plus 구문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전환 방식은 NGINX Open Source에서도 동일합니다). Reverse Proxy 또는 Load Balancer 역할을 하도록 Apache 서버 앞에 NGINX Plus를 배치하거나…

GitHub Actions 사용하여 Canary Blue-Green 배포 자동화 이 포스트에서는 GitHub Actions 를 사용하여 Canary Blue-Green 배포의 첫 번째 단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보여드립니다. 배포를 자동화하는 것은 대부분의 프로젝트의 성공에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코드를 배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Downtime을 제한(또는 제거)…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